PowerShell 3

나를 위한 PowerShell(5) : Pipeline과 출력 형식

Pipeline 두 가지 이상의 구문을 연결하기 위한 방법이 뭐가 있을까? Unix 기반 운영체제 특히 리눅스를 자주 사용해 봤다면 한 번쯤 경험해 봤을 것이다. 바로 Pipeline이다. Pipe는 한쪽(왼쪽)의 출력을 다른 한쪽(오른쪽)의 입력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PowerShell에서 보통 Get과 Set동사를 조합하여 사용하는데, 그 예제를 따라해보자 예제 Get-Process | Stop-Process 실행 중이던 메모장과 그림판을 모두 종료하려 한다. Get-Process를 통해 프로세스 상태를 확인해 보니 각각 2개씩 켜져 있는 것을 확인했다. Get-Process notepad, mspaint Img2 출력 속 프로세스를 모두 종료시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바로 pipe를 통해..

나를 위한 PowerShell(4) : 개인 설정과 ISE

쉬어가는 느낌으로 PowerShell 개인 설정에 관해 다뤄볼 예정이다. 우리가 PowerShell을 실행하면 가장 먼저 만나는 화면은 Img1과 같을 것이다 지금 내가 사용하는 환경이 보통의 경우와 조금 달라 정확하게 같진 않겠지만 크게 차이는 없다 여기서 개인 설정이라 함은 창 제목이라던지 실행 시 처음으로 출력되는 text와 같은 환경 값을 다룬다 이때 필요한 것이 PowerShell Profile이다. PowerShell Profiles Profile은 PowerShell이 시작될 때 실행되는 스크립트로, Users Documents 폴더의 PS1파일과 함께 실행된다 PS1파일에 관한 내용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하시길 2024.02.26 - [programming ⌨/파워쉘 PowerShell] -..

나를 위한 PowerShell(1) : 콘솔과 명령

주변을 보면 윈도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사람이 굉장히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PowerShell은 자동화 스크립트와 같이 우리 업무의 효율을 높여줄 수 있고, 운영체제의 기능들과 상호작용이 필요한 경우 매우 편리하게 작용한다. 놀랍게도 나는 사지방에 cmd가 막혀있어 반강제로 접했다🤣 파워쉘을 이용한 악성코드 사례가 상당히 많은 만큼 알아두면 좋을 것 같고 때마침 정리가 잘 된 글을 발견하여 같이 따라가 보려 한다. 앞으로의 과정은 해당 글을 참고하여 진행할 예정이다 Windows Server의 경우 작업 표시줄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다른 버전(Client)이나 없다면 위 사진과 같은 방법으로 찾을 수 있다. 명령어의 법칙 : Verb-Noun 명령어는 보통 (동사-명사)의..